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의 단어: 96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96개 세 글자:77개 네 글자:88개 다섯 글자:19개 여섯 글자 이상:16개 모든 글자:297개

  • : (1)사는 사람마다 흉한 일을 당하는 불길한 집. ⇒규범 표기는 ‘흉가’이다.
  • : (1)‘흉터’의 방언
  • : (1)‘호들갑’의 방언
  • : (1)‘흉터’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높여 존경하고 사모함. (2)중국 금(金)나라 위소왕(衛紹王) 때의 연호(1212~1213).
  • : (1)‘흉계’의 방언
  • : (1)옛 문물을 높여 소중히 여김. (2)‘숭고하다’의 어근. (3)‘숭고하다’의 어근.
  • : (1)‘숭광하다’의 어근.
  • : (1)‘숫구멍’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흉내’의 방언 (2)‘승냥이’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제사상에 올리는 물. (2)‘숭늉’의 방언
  • : (1)‘흉년’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2)‘흉년’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흉년’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2)중국 북송(北宋) 휘종(徽宗) 때의 연호(1102~1106).
  • : (1)‘숭늉’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밥을 지은 솥에서 밥을 푼 뒤에 물을 붓고 데운 물. 구수한 맛이 있으며, 흔히 식사를 한 뒤에 마신다.
  • : (1)‘숭늉’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심다’의 방언
  • : (1)높은 누대. (2)큰 암석.
  • : (1)중국 청나라 태종 때의 연호(1636~1643).
  • : (1)연한 물건을 조금 큼직하고 거칠게 빨리 한 번 써는 모양.
  • : (1)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 높이는 30~70cm 정도이며, 경엽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 모양이다. 초여름에 노란 사판화가 가지나 줄기 끝에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둥글넓적한 장각과(長角果)를 맺는다. 열매는 해독제나 해열제로 쓰고 잎은 쪽빛 물감의 재료로 쓴다. 바닷가에 자라는데 원산 이북에 분포한다.
  • : (1)‘숭려하다’의 어근.
  • : (1)높은 고개.
  • : (1)높은 전각(殿閣).
  • : (1)조선 현종과 그의 비(妃) 명성 왕후 김씨의 능. 동구릉의 하나이다.
  • : (1)우러러 사모함.
  • : (1)글을 숭상함. 또는 문학을 높임.
  • : (1)‘엄살’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미국을 숭배함. (2)‘숭미하다’의 어근.
  • : (1)높은 지위나 벼슬.
  • : (1)우러러 공경함. (2)신이나 부처 따위의 종교적 대상을 우러러 신앙함.
  • : (1)은덕을 갚음.
  • : (1)서요(西遼) 승천 태후(承天太后) 치세 때의 연호(1164~1178).
  • : (1)우러러 공경하며 받듦.
  • : (1)부처, 불교를 높여 소중히 여김.
  • : (1)우러러 공경하여 섬김. (2)우러러 공경하여 제사를 지냄. 또는 제사를 높여 소중히 여김.
  • : (1)중국 오악(五嶽) 가운데 하나. 중국 허난성(河南省) 서북부 뤄양(洛陽) 동쪽에 있다. 높이는 1,600미터. ⇒규범 표기는 ‘쑹산산’이다.
  • : (1)높여 소중히 여김.
  • : (1)아주 오랜 옛날.
  • : (1)‘수쇠’의 방언
  • : (1)‘숭수하다’의 어근.
  • : (1)연한 물건을 조금 굵직하게 빨리 써는 모양. (2)조금 큰 구멍이나 자국이 많이 나 있는 모양. (3)살갗에 큰 땀방울이나 소름 따위가 많이 돋아나 있는 모양. (4)바느질을 설피게 대강대강 하는 모양. (5)위용 따위가 높디높음.
  • : (1)‘흉사’의 방언
  • : (1)우러러 공경하여 믿음. (2)신(神)을 높여 소중히 여김.
  • : (1)‘숭어’의 방언
  • : (1)‘흉악’의 방언
  • : (1)높은 바위.
  • : (1)공경하여 우러러봄.
  • : (1)‘숭늉’의 방언
  • : (1)숭엇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60cm 정도이고 옆으로 납작하다. 등은 잿빛을 띤 청색이고 배는 은백색이다. 온몸에 빳빳한 비늘이 있고 머리는 작은데 폭이 넓다. 담수, 기수, 해수에 사는데 온대와 열대 지방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전 연해와 강의 하구에서 잡힌다.
  • : (1)‘숭엄하다’의 어근.
  • : (1)‘숭어’의 방언
  • : (1)‘흉년’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다른 나라를 우러러봄.
  • : (1)‘숭어’의 방언
  • : (1)높은 지위나 벼슬.
  • : (1)유교(儒敎)를 높여 소중히 여김. (2)‘숭늉’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 : (1)꽃, 열매, 눈 따위가 따로따로 다른 꼭지에 달린 한 덩이. ⇒규범 표기는 ‘송이’이다. (2)꼭지에 달린 꽃이나 열매 따위를 세는 단위. ⇒규범 표기는 ‘송이’이다.
  • : (1)‘흉작’의 방언
  • : (1)널리 권장함.
  • : (1)속되지 않고 품위 있는 마음. (2)중국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 의종(毅宗) 때의 연호(1628~1644). 명나라가 망한 뒤에도 조선은 청나라 연호를 쓰는 것을 꺼려 이 연호를 사용하였다.
  • : (1)조상을 높여 소중히 여김. (2)이른 아침 동안. 새벽부터 아침밥을 먹을 때까지의 사이를 이른다.
  • : (1)중국 서하(西夏)의 제4대 황제(1083~1139). 시호는 성문제(聖文帝). 혜종과 소간 황후 양씨의 소생이다. 재위 기간은 1086~1139년이다.
  • : (1)‘숭준하다’의 어근.
  • : (1)받들어 귀중히 여김.
  • : (1)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 길이가 30~50cm이며, 잎이 여러 겹으로 포개져 자라는데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으로 속은 누런 흰색이고 겉은 녹색이다. 봄에 십자 모양의 노란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핀다. 잎ㆍ줄기ㆍ뿌리를 모두 식용하며,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 (1)‘흉측’의 방언
  • : (1)‘송이’의 방언
  • : (1)‘수캐’의 방언
  • : (1)‘수고양이’의 방언
  • : (1)‘흉터’의 방언
  • : (1)‘흉터’의 방언
  • : (1)‘내숭’의 방언
  • : (1)조선 시대의 18 품계 가운데 둘째 등급. 종친(宗親)의 소덕대부ㆍ유덕대부ㆍ가덕대부, 의빈(儀賓)의 광덕대부ㆍ정덕대부ㆍ숭덕대부ㆍ명덕대부, 문무(文武)의 숭록대부ㆍ숭정대부 등이 해당한다.
  • : (1)높고 큰 집.
  • : (1)높은 낭떠러지. (2)‘숭어’의 방언
  • : (1)임금에 대한 백성의 만세 소리. 중국 한나라 무제가 쑹산산(嵩山山)에서 봉선을 할 때 백성들이 만세를 불렀다는 데서 유래한 말이다.
  • : (1)‘융화’를 달리 이르는 말.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5개) : 사, 삭, 삮, 삯, 산, 살, 삵, 삶, 삷, 삼, 삽, 삿, 상, 샅, 샆, 새, 색, 샋, 샌, 샐, 샘, 샙, 샛, 생, 샤, 샥, 샨, 샬, 샴, 샵, 샷, 샹, 섀, 섐, 섕, 서, 석, 섟, 선, 설, 섥, 섬, 섭, 섯, 성, 섶, 세, 섹, 센, 섿, 셀, 셈, 셉, 셋, 셍, 셑, 셓, 셔, 셗, 션, 셤, 셧, 셮, 셰, 셸, 솀, 솃, 소, 속, 손, 솔, 솕, 솜, 솝, 솟, 송, 솣, 솤, 솥, 솧, 솨, 솩, 솰, 쇄, 쇅, 쇔, 쇠, 쇡, 쇤, 쇰, 쇼, 숀, 숄, 숌, 숏, 숑, 숗, 수, 숙, 숚 ...

실전 끝말 잇기

숭으로 끝나는 단어 (80개) : 융숭, 돌복숭, 내숭, 네숭, 듬숭듬숭, 배숭, 이렁숭데렁숭, 맨숭맨숭, 구숭, 가숭, 깜숭, 엑숭, 검숭, 위원숭, 오라부동숭, 뒤숭숭, 감숭, 담숭담숭, 신숭, 외적 흠숭, 민숭민숭, 진유숭, 존숭, 되숭대숭, 어리숭, 숭, 부숭부숭, 디숭숭, 뿌숭뿌숭, 지숭 ...
숭으로 끝나는 단어는 80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숭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 단어는 96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